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하기 전 준비물 2개 1. ESSID와 ERCR 정보들을 갖고오기 위해 kali linux 사용- VMWARE 사용하거나- 갖고있는 노트북 사용* 단 VMWARE 사용하면 WLAN USB 형식 하나 필요함 2. hashcat 다운로드https://hashcat.net/files/hashcat-6.2.6.7z kali linux에서ip addr 하여 wlan 활성화 되어있는지 파악 비밀번호 찾아낼 와이파이 리스트 scansudo wifite --wpa --kill 후index 번호로 wifi 선택* WPA Handshake Attack 사용* 나머지 Attact 들은 Ctrl + C 하여 무시하고 c 로 넘김파악한 .cap 파일 확인cd /hs hccapx 형식으로 변환/usr/share/hashcat-..
개요최근에 관심이 있는 분야이기도하고 회귀 분석 쪽으로도 접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오픈소스 컨트리뷰터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해당 오픈소스 분석 시작! 최근 정리한 오픈소스 분석 방법론을 통해 순차적으로 뜯어볼 예정이다.(너무 어렵지만 해결했을 때의 짜릿함 기대중)https://timmer.tistory.com/350 깃허브 내 오픈소스 코드 분석하는법 총 정리 - 순서대로만 따라하면 이해되는 오픈소스코드 분1. 배경지식을 갖출 것정렬이라던가 검색같은데 특정 알고리즘을 사용했다면,해당 알고리즘의 작동원리 이해하고 난 후 분석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만약 해당 지식이 없이 코드로만 이해하려timmer.tistory.com 1. 배경지식을 갖출 것간단하게 한줄로 요약이 가능하다.'비트코인 투자 자동화 ..
실무 웹사이트 리메이크 일대기 4화 1. 사람들이 접속할 수 있는 서버를 만들자나만 접속하면 소용이 없어 현재까지 만든 웹 서비스를 이제 실제 서버에 배포해볼 차례! 로컬에서 개발하고 나만 즐기는 서비스면 굳이 서버에 옮기지 않아도 무난하지만,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이용해야하는 서비스이기에, 24시간 돌아가는 서버에 놓고 서비스를 띄워놓아야한다. 서버는 뭘 써야하고 무슨 종류가 있지?서버는 크게 2가지 종류로 나뉜다. 개인 서버(물리적 서버 - 온프레미스라고도 함)해당 서버같은 경우 쉽게 설명하자면, 어떤 장소에 컴퓨터 본체나 노트북 놓고 24시간 켜놓는 서버주로 우분투, 윈도우 OS를 쓰는데, 대부분 호환이 용이한 우분투를 사용한다.클라우드 서버 (가상 서버)특정 업체가 켜놓은 서버 내 자원을 잠시 빌려..
실무 웹사이트 리메이크 일대기 3화 1. 서비스 분석업무 프로세스를 미리 정리하여 빠르게 개발하자 MVP 서비스를 개발할 때 개인적으로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고객이나 나의 서비스의 기존 업무 프로세스가 무엇인지 정리하는 것이다. 이 정리한 업무들로 추후 필요한 기능을 제안하거나, 업무 중 반복하는 과정은 프로그램을 통해 최대한 자동화를 하여 사용자와 관리자의 편의성을 최대한 증진시키는 것에 목표를 둔다. 결국 프로그램의 목적 의의는 사용자 그리고 관리자의 편의성 증진이니까! 이번 고객?(지인) 분은 이런 프로젝트 자체가 처음이시기에, 업무 프로세스 정리를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 같아, 개인적으로 파악한 업무 프로세스를 보기 쉽게 시각화하여 정리해보았다. 처음 해보았지만, 생각보다 무료 툴인 '..
실무 웹사이트 리메이크 일대기 2화 1. 무슨 기술스택을 쓸까?프론트엔드 항상 느끼는거지만 처음 서비스를 설계할 때, 어떤 기술스택을 쓸 것인지 미리 정하고 시작하는게 정신건강에 이로워요. 처음에 생각나는대로 프로젝트 하나 만들어서 주먹구구식으로 적용시켜놓으면, 결국 나중에는 다 뜯어고쳐야하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 먼저 프론트엔드는 기존에 항상 잘 쓰고 있던 '리액트'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로 했어요.상태관리로는 가벼운 상태관리 툴인 zustand으로!그리고 타입스크립트로 만들어버리면, 개발 시간이 조금 더 걸릴 수 있으므로 바닐라JS 차용!* 체계적인 프로젝트 혹은 대형 프로젝는 Redux-toolkit이 좋다고 하던데 여기서는 패스*여기서 잡팁! 프레임워크개발자가 작업을 하기 위한 전체적인 too..
실무 웹사이트 리메이크 일대기 1화1. 왜 이걸 시작하니? (사서 고생하기 아닐까)공부는 인풋만 하는 것이 아니라 아웃풋! 지금까지 국비과정을 수료하고 풀스택으로 (백엔드 + 프론트엔드) 실무 프로젝트를 수행한지 벌써 2년째가 되가는 중이에요. 이제는 습관적으로 주말에나 쉬는 날에도 최신 IT 트렌드를 찾아보며 공부를 해나가고 있지만, 이렇게 학습만하고 이런 좋은 기술들을 사람들이 사용하는 실제 서비스에 적용하지 못하는게 조금 아쉽더라구요. 그래서 그런지 점점 흥미가 떨어져나가는 것이 체감이 되던? 이렇게 공부를 하다가는 이 IT 공부를 아예 놓아버릴 것 같아서 지금까지 배워왔던 기술과 배울 예정인 기술들을 직접 실제 사용자가 쓰는 서비스에 적용을 해보자라고 마음을 먹었습니다! 어떻게 보면 공부했던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