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객체지향, 즉 데이터를 객체로 취급하여 프로그램에 반영한 것으로 객체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객체지향의 코드의 재사용, 변경의 특징을 이용해서 다음과 같은 클래스를 만들 수 있다. class Food( // 콤마를 사용해 변수를 초기화하고 var name: String, var calories: Int ){ // 다음 중괄호안에 클래스 함수를 써주고 변수명을 참조할 때는 $를 쓴다 = jQuery랑 비슷함 fun brief(){ println("Name : $name Calories : $calories" ) } } fun main(){ var a = Food("Chicken", 1500) var b = Food("Pizza", 1000) // 만든 함수를 호출할 때는 .뒤..
특정한 코드를 지정한 숫자만큼 반복한다. while과 do~while의 사용법은 자바와 같지만 for은 매우 다르니 아래의 코드를 참조 fun main(){ var a = 0 while(a
명시적 형변환이란 각기 다른 타입의 변수를 할당하는 것을 말한다. 자바 같은 경우 암묵적 형변환을 인정해주지만 kotlin에서는 형변환의 오류를 막기위해 꼭 형변환을 해주어야 한다. // 명시적 형변환 var b : Float = 123.3f // toLong 등 형변환의 타입에 맞추어야 한다 var a : Long = b.toLong() 배열을 지정할 때에는 아래의 코드를 실행하여 배정한다. 비어있는 리스트를 만들기 위해 arrayofNulls를 사용한다. array를 사용할 때는 다른 언어들처럼 [] 인덱싱을 사용하여 값을 출력한다. []를 사용하여 특정 인덱스에 값을 배정할 수도 있다. var arr = arrayOf(1,2,3,4,5) var nullArr = arrayOfNulls(5) prin..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