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ashSet Set인터페이스를 상속받아 메서드를 구현한 대표적인 Collection 클래스 Set인터페이스는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순서를 고려하지 않는다. HashSet은 객체를 저장하기 전에 기존에 같은 객체가 있는지 확인하여 중복이면 제거, 중복이 아니면 추가한다. 따라서 객체의 값이 같은지 확인하기 위해 equals와 hashcode를 오버라이딩 해주어야 값을 비교하여 조건부로 값을 저장한다 만약 데이터 정렬의 순서를 고려하고싶다면 LinkedHashSet클래스를 사용 메서드 이름 기능 HashSet(int initialCapacity) 초기용량 설정 add() 객체 데이터 추가 addAll(Collection c) Collection 데이터 추가 remove() 객체 데이터 제거 removeAl..
Collection Framework 정의: Collection: 여러 객체(데이터)를 모아 놓은 것을 의미 Framework: 표준화, 정형화된 체계적인 프로그래밍 방식 개인의 코딩 방식이 아닌 기준을 정한 코딩으로 다른 사람이 이해하고 수정하기 편하게 하기 위한 정형화 대표적인 예시로 Spring Framework가 있음 Collection Framework: 컬렉션(다수의 객체)을 다루기 위한 표준화된 프로그래밍 방식 컬렉션(다수의 데이터)을 다룰 수 있는 다양한 클래스를 제공 핵심 인터페이스(interface) 메서드: 데이터를 정리하기 위한 핵심 인터페이스: List, Set, Map List: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이고 중복을 허용한다 대표적인 예로 식당의 웨이팅 리스트, 누가 먼저 왔는지..
tuple tuple과 list는 같은 개념이라고 이해하면 되지만 아래와 같은 특징들이 다르다 list는 []를 사용하지만 tuple은 ()을 사용한다 list는 생성 후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고 (mutable), tuple은 생성 후 변경이 불가능한 (immutable) 변수의 집합 생성 후 변경이 가능한 데이터 집합: list, dictionary, set 등 생성 후 변경이 불가능한 데이터 집합: int, float, string, tuple, frozenset 변경 불가능이기 때문에 나중에 다른사람이 수정을 요구할 때 못하게 되는 보안적인 강점이 생김 데이터 수정을 못하기 때문에 수정에 의한 프로그래밍적인 문제점 방지 가능 t=(1,2) #tuple로 변수 선언 t 1,2 t2=(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