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static(클래스) & 인스턴스 메서드 인스턴스는 참조변수를 써야하고 클래스 메서드는 객체 생성없이 클래스 변수 이름만으로 호출가능 클래스 메서드 예시: Math.random, Math.round public class Math{ int a; //인스턴스 변수: 모든 클래스, 즉 Math 클래스 전체에 적용되는 인스턴스 변수 int b; int add() { return a + b; } static int add(int a, int b) { //클래스 변수: 하단의 클래스까지만 적용 return a + b; // 지역변수 //지역변수를 사용하고 iv(instance variable = 인스턴스 변수)를 사용하지 않을 때 //static을 붙여 class 변수로 만듬 } } class MathMain{ ..
return문 반환값 void일 경우에 return을 써서 조건이 맞지 않으면 호출문으로 되돌아감 void가 아닐경우엔 return을 반드시 써서 반환값을 지정해야함 따라서 아래의 코드같은 경우에는 number 값이 9를 초과했으므로 출력문이 실행되지 않음 public class CardClss{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선언부 test tt = new test(); tt.gugu(10); tt.gugu(4); } } class test{ //반환타입이 void일 경우 return문 사용하여 조건이 맞지 않을경우 호출한 곳으로 되돌리기 가능 void gugu(int number) { if(!(0
메서드 코드들을 블록안에 묶어놓은 것 중복되는 코드들을 묶어서 이름을 선언해 코드를 간결화 시킨다. - 코드의 재사용 가능 + 이해하기 쉬워진다 class Card{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ist list = new List(); int[] n = {1,2,3,4,5}; List.numArr(n); int[] n2 = {6,7,8,9}; List.numArr(n2); } } class List { static void numArr(int[] number) { for(int i = 0; i y ? x : y; } } 출력문 true 5
클래스의 정의 1. 정의 변수 > 배열 > 구조체 > 클래스 순으로 나열됨 변수: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가능한 공간 int 1 배열: 여러개의 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하나로 저장가능한 공간 int 1 int 2 int 3 구조체: 서로 관련된 (타입 상관없이) 여러 데이터를 저장 가능한 공간 int 1 String hello float 1.2 클래스: 데이터와 함수의 결합, 즉 구조체 + 함수 int 1 String hello float 1.2 + 함수 1. 정의2 특징: 원하는 타입을 직접 만들 수 있다. 아래와 같이 각각의 다른 타입의 변수를 선언하고 메서드를 만든다 그 후에 선언한 class의 변수를 new를 통해서 선언함으로써 코드를 간결화 시킬 수 있다. (타입 선언 필요없음) 각각의 변수를 cla..
한 파일에 여러 class 작성하기 소스파일의 이름은 public 클래스의 이름과 반드시 일치해야함 public 클래스가 없는경우 이름을 변경하여 여러 class를 작성해도 문제없음 다만 되도록 하나의 소스파일에서 하나의 class만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 //public class가 있는경우 public class ATestVer {} class java2{} class hello2{} // public class가 없는경우 class java{} class hello{} 객체 생성 & 사용 class의 객체를 생성하여 각각의 설정된 기능을 호출하고 속성에 값을 지정하여 사용한다 순서: class 생성 > 객체 생성 (TV t = new TV() ) > 객체 속성값 지정 > 객체 기능 메서드 호출 후 사..
array 배열 연습문제 받을 돈을 확인한 후 만약 가지고 있는 돈이 충분하다면 거슬러 줄 동전을 세주고 부족하다면 거스름돈 부족 출력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Daily_Tstor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큰 금액의 동전을 우선적으로 거슬러 줘야한다.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ln("현재 가지고 있는 돈 입력"); String input = scanner.nextLine(); int money = Integer.parseInt(input); int rm = 0; int[] coi..
2차원 배열 인덱스 개념 public class Daily_Tstor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2차원 배열의 인덱스 int[][] i = new int[3][3]; i[2][2] = 3; int result = i[2][2]; //3까지 배열의 길이를 지정했으므로 2까지 출력 가능 System.out.println(i[2][2]); System.out.println(result); int[][] j = {{1,2,3},{4,5,6}}; //2차원 배열은 {{}}를 씀으로써 배열 구분 int [][] k = { {1,2,3}, {4,5,6} }; // 2차원 배열의 가독성을 위해 위의 형식으로 많이 씀 System.out.println(j[0][2]..